Korean Artist Project with Korean Art Museum
로그인  |  회원등록  |  English    Contact us

Museums

Home > 참여미술관 > 상세보기

Museums

한미사진미술관

개관연도
위치
홈페이지

2004
서울 송파구 방이동 45 한미타워 19층
http://www.photomuseum.or.kr

Museums

Museums

한미사진미술관은 (주)한미약품이 지난 2002년 4월, 창립 30주년을 맞아 문화예술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위해 설립한 한미문화예술재단의 첫 번째 사업으로 2003년 개관하였습니다. 한미문화예술재단은 한미사진미술관을 비롯해 한국사진문화연구소, 사진자료실을 개관하였으며, 지난 해 가현문화재단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더욱 활발한 문화기여사업으로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본 기관은 국내 최초 사진전문미술관으로서 사진문화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사진전시를 기획, 개최하고 있으며, 사진컬렉션, 작가지원, 국제교류 등 다양한 활동과 한국사진사 정립을 위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사진자료들을 수집, 편찬하고 있습니다.

전시

  • 강홍구 사진전: 한국사진 반세기의 자화상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강홍구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강홍구는 오늘날 한국사진의 역사적 진화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작가중 한명이다. 개인의 창작 활동과 그 연속적인 궤적이 한국 현대사진의 흐름과 그 꼴을 같이 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사진틀에 서구의 모던한 경향들이 접목되는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진의 실질적인 과도기가 그의 사진에도 오롯이 담겨있는데, 그는 이를 특유의 재치와 창조적인 방식으로 훌륭히 절충시켜냈다. 강홍구의 사진은 도시화의 진행 과정에서 이미 우리가 알면서도 보지 못한 변방의 을씨년스럽고 음울한 장면을 보여준다. 그는 사진을 그림의 상황설정을 위한 재현의 도구로 활용해 현실의 주름 사이에 숨겨진 모호한 공간을 들추어낸다. 결국 그의 사진적 내용과 형식 모두 반세기 한국 현대사진의 역사적 흔적임과 동시에 자화상이다.

  • 고명근 개인전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고명근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사진 콜라주의 입체로 이루어진 고명근의 작업은 입체인 대상의 표면을 사진으로 찍어 평면으로 만들고 그 평면인 사진을 다시 입체로 전환하는 작업이다. 회화와 조각, 사진이 한 몸으로 겹치고 중첩된다. 실재가 재구성되고 여기에 이미지가 주는 환상이 어른거린다. 사진과 조각, 건축과 환영적 이미지가 한 몸에서 몇 겹으로 흔들리는 것이다. 그는 조각을 전공해 이를 근간으로 사진을 이용, 조각적으로 번안하...

  • 난다 개인전

    참여작가

    난다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본 전시는 사진작가 난다의 근작시리즈《THE DAY》를 선보인다. 이 연작은 '기념일'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작가가 현대생활문화에 침잠되어 있는 현대인들의 삶과 현실을 공감하고, 그 사회적 단상을 작가만의 예리한 시각과 독특한 감성으로 시각화한 작업이다. 각종 기념일에 대한 의미와 현상의 재해석을 목적으로 하는 본 작업을 위해 난다는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일반인들로부터 기념사진 촬영을 의뢰 받...

  • Photographic KoreaⅠ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민병헌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우리는 이미 ‘사진’이라는 말을 들으면 디지털 사진의 프로세스부터 떠올리는 시기에 살고 있다. 과거 암실에서 만들어내는 아날로그 흑백 프린트에 일종의 신성한 가치를 부여하던 사진가들 중 많은 이들이 10년도 채 안되는 시간 동안 결국 디지털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투항한 지금, 민병헌은 여전히 아날로그 흑백 프린트를 고수하고 있는 소수의 사진가 중 한 명이다. 하지만, 그를 이야기 할 때 결코 빼놓을 수 ...

  • 원성원 개인전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원성원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원성원의 작품에 깊은 그림자를 드리웠던 사건이 실제의 이러저러한 에피소드임과 동시에 심리적인 사건이다. 그리고 재가공을 위해 탈 맥락화 된 현재적 소재의 의미와 위치 또한 가변적이다. 과거와 현재는 미래를 향해 열려있기에, 다음 장면들은 주사위놀이처럼 결정되지 않는다. 상실된 대상을 찾아나서는 어린 소녀의 여정에는 미로를 헤쳐 나가기 위한 실이 여기저기 묶여 있지만 목적지만큼이나 출발점 또한...

  • 유현미 개인전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유현미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유현미는 실재/외부세계가 이미지로 탄생하는 과정을 중복적으로 재현한다. 이를 통해 탄생된 이미지는 익숙해 보이는 세계를 언캐니한 정경(mise en scene)으로 시각화된다. 낯선 정경은 대개 사진과 영상에 의해 제시되지만, 사실 그가 묻는 것은 이미지 자체보다 시각예술에서의 재현성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리얼리즘을 의도적으로 조작하는 방식을 통해 강조되는데, 예를 들어 실제 사물을 석고붕대를 이...

  • Photographic KoreaⅡ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이갑철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20)

    이갑철(1959-)의 방약무인한 카메라 워크는 이 시대의 외진 곳에 억압되어 있는 원초적 충동, 한국인의 집단무의식 속에 뿌리 박혀 있는 샤머니즘의 세계를 열어 보인다. 서구적 합리주의와 실용주의가 억압한 토속 신앙의 악귀, 혼령, 실성의 기(氣)energy를 때로는 튀어나가는 역동적 형식으로, 때로는 몸을 숨기는 음험한 형식으로, 때로는 수줍고 겸허한 형식으로 사로잡는다. 중늙은이 아들을 후려치는 노인의 ...

  • 사진적 한국Ⅲ : 이상현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이상현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8)

    이상현의 사진과 비디오 작업에는 시간의 뒤편으로 사라진 한국역사에 대한 회고적인 시선과 강한 시대의식이 담긴 현대적 해석, 그리고 다음 세대에 대한 자유로운 상상적 시선이 복합적으로 담겨있다. 작가 자신이 100년전으로 시간여행을 떠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조선(朝鮮, 14세기 말~20세기 초반까지 불렸던 한국의 옛이름)의 모습을 복원한 사진, 비디오 작업은 한국인의 기억 속에 잊혀졌던 우리역사, 정취...

  • 이정록 사진전 Decoding Scape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이정록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이정록의 신작 Decoding Scape는 작가가 설정한 최소한의 연출로 자연과 환경, 땅의 힘과 경이를 표현한다는 점에서 기존작업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그 위에 '언어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삽입하여, 우리 삶 속에 깊이 개입하고 있는 신화적이고 영적인 세계를 작가만의 철학으로 더욱 다채롭고 강렬하게 시각화하였다. 작가에게 말과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 그 이상이다. 그에게 언어는 단지 인간이 고안해내...

  • 최중원 사진전 아파-트
    김선영 기획

    참여작가

    최중원

    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작 품 수

    Total (0)

    본 전시는 사진작가 최중원 의 연작을 선보인다. 이전작업인 연작을 통해 이미 그 사진적 역량을 보여준 작가는 를 통해 다시 한 번 그의 독특한 심미안과 사진에 대한, 그리고 그 사진에 담긴 대상물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담담하게 풀어냈다. 주로 일상 속에서 스치고 지나가는 평범한 우리네 주변의 풍경들에 주목해온 작가가 이번 전시에서 소개하는 연작을 통해서는 현대 한국사회를 대표하는 주거환경이자 다양...

Contact Us

주 소       송파구 방이동 45 한미타워 19층
전화번호  02-4181315
홈페이지  http://www.photomuseum.or.kr

top

View List